도-도교육청, 무상급식 이어 누리과정도 충돌 ‘앙숙 될라’

기사작성 : 2015년 11월 05일 14시 48분 08초

 

도교육청 … 시·도교육감협의회 결의 이행 어린이집 예산 안 세워

도 … 대략 난감, 도교육청 예산 안세우면 세입예산 없는 세출예산

무상급식 분담률을 놓고 장기 홍역을 앓고 있는 도와 도교육청이 이번엔 3세부터 5세까지 해당하는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놓고 반목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민선 6기 출범 당시만 해도 야당 소속 이시종 지사와 진보성향 김병우 교육감이 이끄는 두 기관의 찰떡궁합을 기대했다. 이같은 기대와 불구하고 실제로는 미워하고 대립하는 앙숙 관계로 흐르는 분위기다.

유례없는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도교육청은 내년 1년 치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824억원을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가 내년도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편성을 거부하기로 결의한 데 따른 조처다.

앞서 도는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편성안을 제출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면서 ‘10월23일까지 답변해 달라’고 요청했었다. 도교육청은 답변기일이 열흘 가까이 지났는데도 회신하지 않고 있다.

도교육청은 누리과정 전체예산 1천283억원 가운데 공·사립 유치원 예산 429억원은 편성하되 ‘어린이집 누리과정만큼은 정부 책임이니 교육청 재원으로 집행하지 않겠다’고 결의한 시·도교육감협의회의 입장을 지키겠다는 자세다.

회계연도 개시 50일 전(11월11일)까지 내년도 본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도와 도교육청이 누리과정 예산 반영여부를 결정할 시간은 열흘도 채 남지 않은 상태이다. 도는 고민하고 있다. 도교육청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세우지 않으면 ‘세입 없는 세출예산’이 되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최근 “만약 도교육청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반영하지 않으면, 우리(도와 11개 시·군)가 예산을 세워도 그것은 ‘허수’에 불과하다”라며 “세입이 불확실한데 세출만 세운다면 (예산안심의권을 가진)도의회에서 어떻게 보겠는가”라고 말했다.

도교육청의 인식은 도와는 많이 다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17개 시·도교육청이 결의한 걸 우리만 어길 순 없는 노릇”이라며 “예산통일의 원칙에 따라 교육청이 예산을 전출해줄 상황이 아니라 하더라도 지자체는 우선 예산을 반영하고 (다른 재원으로)집행할 수 있지 않으냐”고 반박했다.

예산통일의 원칙은 세입이 특정한 세출로 연결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우선 지자체가 다른 재원으로 어린이집 누리과정을 끌어가고, 교육청 재정상황이 호전되거나 정부가 지방채 보증 등 일정 부분 책임지는 변수가 발생하면 교육재정에서 보충하면 된다는 의미다.

앞서 도교육청은 올해 본예산에도 1~4월분 누리과정 예산만 반영했었다. 보육대란이 현실화할 위기에 처하자 정부가 부랴부랴 목적예비비 204억원을 우회지원 했다.

도교육청은 지방채 364억원을 차입해 8개월치 누리과정 예산(568억원)을 조달했다. 이 과정에서 1년 치 세입예산을 잡아놨던 도는 도교육청에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전출을 확약하는 내용의 ‘각서’를 쓰라고 도교육청에 요구하기도 했다.

누리과정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어린이집의 표준보육과정을 통합한 것인데, 부모에게 소득과 관계없이 월 29만원(공립유치원은 11만원)씩 지급되는 재원이다.

 /최경옥기자

 

본 사이트의 내용과 이미지 자료는 투데이제천단양신문에 있으며, 무단도용과 배포는 금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